기타

2025년 헬스장·수영장 문화비 소득공제 완벽 가이드 - 연 300만원 한도 30% 공제

웅존 2025. 7. 5.
반응형

2025년 7월부터 헬스장·수영장 이용료도 소득공제!
2025년 7월 1일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시설 이용료가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어, 총급여 7천만 원 이하 국민은 연간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이용료의 30%를 소득공제로 받을 수 있게 된다.


운동하면서 세금까지 아끼는 시대 도래!

그동안 도서, 공연, 영화 등에만 적용되던 문화비 소득공제가 드디어 체육시설까지 확대됩니다. 공연, 도서, 미술관 중심으로 적용되던 문화비 소득공제 항목이 수영장, 헬스장(체력단련장) 시설이용료에도 확대되어 적용됩니다.

반응형


헬스장·수영장 문화비 소득공제 핵심 정보

소득공제 대상 및 조건
대상자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
신용카드 사용액이 급여의 25%를 넘어야 함

공제 혜택
사용한 금액의 30%를 300만 원 한도 내에서 소득공제
연간 최대 90만원 세액 절약 가능 (300만원 × 30% = 90만원)

적용 시설
지자체에 신고된 체육시설법 대상 시설
수영장, 헬스장(체력단련장) 등 체육시설

⚠️ 소득공제 제외 항목
포함되지 않는 비용
1:1 맞춤 운동 비용 즉, PT 등의 강습 비용은 수영장, 헬스장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
개인 트레이닝(PT) 비용
필라테스 개인 레슨
기타 개인 맞춤 강습료


시설 이용료에 포함된 경우

 

월 회비에 포함된 그룹 레슨은 공제 가능
시설 이용료와 구분되지 않는 프로그램 비용

문화비 소득공제 신청 방법
1단계: 문화포털 접속

검색창에 "문화비 소득공제" 입력
문화포털(culture.go.kr) 공식 사이트 접속

2단계: 사업자 등록 확인

이용하려는 헬스장/수영장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
사업자 찾기 메뉴에서 검색

3단계: 자동 적용

등록된 시설에서 카드 결제 시 자동으로 적용
연말정산 시 별도 신청 불필요

 

운동하는 다양한 인종 여자들 헬스장 크로스핏

 

 


헬스장·수영장 사업자를 위한 등록 방법

사업자 등록 절차
필요 서류

사업자등록증
체육시설신고증
통장 사본


등록 방법


문화포털 사업자 접수 메뉴 접속
필요 서류 업로드
심사 후 승인 (약 1-2주 소요)

연간 절약 금액 계산해보기
헬스장 이용 시 절약 효과
월 10만원 헬스장 이용 시

연간 이용료: 120만원
소득공제 금액: 120만원 × 30% = 36만원
실제 세액 절약: 약 3.6만원 ~ 10.8만원 (소득구간별 차이)

월 15만원 프리미엄 헬스장 이용 시

연간 이용료: 180만원
소득공제 금액: 180만원 × 30% = 54만원
실제 세액 절약: 약 5.4만원 ~ 16.2만원

수영장 + 헬스장 동시 이용 시

연간 이용료: 300만원 (한도 금액)
소득공제 금액: 300만원 × 30% = 90만원
실제 세액 절약: 약 9만원 ~ 27만원

주의사항 및 팁
꼭 확인해야 할 사항

문화포털에 등록된 시설인지 사전 확인
현금 결제 시 소득공제 적용 불가
가족 카드 사용 시 카드 명의자에게 공제 적용


최대 혜택 받는 방법


신용카드 또는 체크카드 결제 필수
월 회비를 카드로 자동 결제 설정
연말정산 시 누락 없이 신고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언제부터 소득공제가 적용되나요?
A1. 2025년 7월 1일부터 헬스장과 수영장 이용료가 '문화비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됩니다.
Q2. 연봉 7천만원을 조금 넘으면 안 되나요?
A2. 총급여 7천만 원 이하의 근로소득자만 대상이므로 1원이라도 넘으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Q3. 가족 회원권도 공제받을 수 있나요?
A3. 본인 명의 카드로 결제한 경우에만 본인에게 공제가 적용됩니다.
Q4. PT 비용은 정말 제외인가요?
A4. 1:1 맞춤 운동 비용 즉, PT 등의 강습 비용은 수영장, 헬스장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해외여행 갔다왔으면 무조건 받는 돈 있다? 3분만에 현금 받기

해외여행 갔다왔으면 무조건 받는 돈 있다? 3분만에 현금 받기 출국납부금 환급 서비스 - 모르면 손해보는 현금 환급 출국납부금이란?해외여행을 갈 때 공항에서 내는 1만원의 출국납부금을 알

surviveit.tistory.com


2025년 문화비 소득공제 전체 대상


기존 대상 (계속 적용)

도서 구입비
공연 관람료
영화 관람료
박물관·미술관 입장료
종이신문 구독료


신규 추가 대상 (2025년 7월부터)


헬스장 시설 이용료
수영장 시설 이용료
기타 체육시설 이용료

반응형


핵심 포인트



2025년 7월 1일부터 시행
연봉 7천만원 이하 대상
연간 300만원 한도 30% 공제
카드 결제 시 자동 적용
PT 등 개인 강습료 제외

반응형

댓글